분류 전체보기 (129)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스템 분석 시스템 로그 개요 및 분석 1) 시스템 로그의 개요 리눅스 시스템은 동작하는 동안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이벤트를 위한 로그정보가 시간순으로 파일에 저장됨. 대부분 /var/log 디렉터리 아래에 텍스트 형식 파일로 저장. syslogd 나 rsyslogd 와 같은 시스템 데몬에 의해 로그파일이 생성됨. 로그 확인 /var/log 디렉터리로 이동해 로그파일 확인 가능 레드행 대표적 로그파일 /var/log/messages, 데비안 /var/log/syslog less 명령어로 로그파일 확인 시스템 로그의 마지막 5줄만 확인 $sudo tail -f -n 5 /var/log/messages 2) 주요 시스템 로그파일 어플리케이션 로그, 이벤트 로그, 서비스 로그, 시스템 로그 /var/log/message.. Chapter 10 마이크로서비스의 배포 빌드 및 파이프라인 구축은 실제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핵심 부분 중 하나다. 코드를 빌드하고 배포하는데 사용할 메커니즘 자동화 automated 빌드와 배포 프로세스에서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 빌드 및 머신이미지 프로비저닝, 이후 서비스의 배포 프로세스가 모두 자동화되어야 하며, 소스 저장소에 코드를 커밋하는 동작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반복성 repeatability 빌드 배포 프로세스는 반복가능하고 동일한 작업으로 수행해야 한다. 완전성 complete 배포된 산출물 결과는 서비스를 위한 완전한 런타임 환경을 포함하는 가상머신 컨테이너 이미지 여야 한다. 불변성 immutability 서비스를 포함한 머신 이미지를 빌드하고 배포한 후 런타임 구성을 건드리거나 변경해서는 안됨. 변경이 필요.. 주변장치 관리 디스크 확장 1) 디스크 확장의 개요 저장소 용량을 증설하기 위해 운영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 장착 할 수 있음. 2)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1. 하드디스크 시스템에 부착 시스템을 끄고 새로운 디스트를 장착. fdisk -l 옵션을 통해 장착 확인. /dev/sdb 장치 추가되었음 확인. 2. 확장 파티션 생성하기 포맷을 하기전 파티션 생성. -> fdisk /dev/sdb 입력하여 파티션 설정에 대한 기본설명 확인 -> m 옵션 사용해 명령어 도움 -> n 명령 사용해 새로운 파티션 만듬. -> e 명령 사용해 확장파티션 생성. -> 파티션 번호와 첫번째 실린더 번호, 마지막 실린더 번호 입력해야하는데 기본값으로 선택 -> 파티션 설정을 디스크에 적용하기 위해 w 옵션을 사용. -> fdisk -l .. 장치의 설치 및 관리 리눅스 커널 1) 커널의 개요 유닉스를 바탕으로 리눅스 토발즈가 개발하고 GNU GPL v2 라이선스 하에 모두에게 무료로 공개. 모놀리틱 커널 uname -r 으로 현재 커널 버전 확인 2) 커널 컴파일 순서 1. 커널 소스코드 다운로드 커널 소스코드를 위한 타르볼 tarball 이나 gitbub 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 보통 /usr/src 에 다운 $wget https://git.kernel.org/tovalds/t/linux-4.17-rc2.tar.gz $tar xvzf linux-4.17-rc.tar.gz $cd linux-4.17-rc2 2. 커널 컴파일에 필요한 필수 도구 설치 yum 명령어를 통해 커널 컴파일에 필요한 컴파일러 및 설치도구 설치 $sudo yum update $sudo yum.. 리눅스 설치 및 관리. 일반운영 패키지를 통한 소프트웨어 설치 1) 패키지를 통한 소프트웨어 설치 개요 현재 미리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패키지 형태로 제작하고 배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함. 리눅스 배포판마다 각자의 패키지 도구 사용함. 레드햇 계열 rpm, 데비안 계열 dpkg, openSUSE rpm . 패키지 도구는 저수준 패키지 도구와 고수준 패키지 도구로 나눌수 있는데 저수준 패키지 도구는 패키지의 설치, 업그레이드, 제거 등 개별동작 제공 고수준 패키지 도구는 저수준 패키지 도구를 이용해 패키지 의존성을 고려하여 설치함. 배포판 저수준 패키지 도구 고수준 패키지 도구 레드햇/CentOS 계열 rpm yum 데비안 dpkg apt-get, apt, aptitude openSUSE 계열 rpm zipper/YaST ..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1) 프로세스 정보 1. ps 시스템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도구 /proc 디렉터리 이하에 프로세스와 연관된 가상 파일시스템의 내용을 토대로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 옵션은 - 를 사용하지 않는 Unix 스타일, - 를 사용하는 BSD 스타일, -- 를 사용하는 GNU 스타일이 있음. ps [options] 기본 프로세스 출력 a : 현재 사용자 프로세스 출력 x : 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만 출력 -A : 모든 프로세스 출력 (-e와 동일) -e : 모든 프로세스 출력 -a : 세션 리더와 커미널과 연관되지 않은 프로세스를 제외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 지정한 프로세스 출력 p : 지정한 PID 목록의 정보만 출력 -C : 지정한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이름의 .. Chapter 09 스프링 클라우드 슬루스와 집킨을 이용한 분산추적 분산 디버깅을 할 수 있는 방법 상관관계 ID를 사용해 여러 서비스 사이 트랜젝션 연결 여러 서비스 사이 로그 데이터를 검색가능한 단일소스로 수집 여러 서비스 사이 사용자 트랜잭션 흐름을 시각화 하고 특성을 이해 사용할 수 있는 세가지 기술 스프링 클라우드 슬루스 상관관계 ID 사용해 HTTP호출을 측정하는 스프링 클라우드 프로젝트 페이퍼트레일 여러 데이터소스 로그 데이터를 검색 가능항 단일 데이터서비스로 수집하는 freemium 서비스 집킨 여러 서비스 사이 트랜젝션 흐름 보여주는 오픈소스 기반 데이터 시각화 도구 9.1 스프링 클라우드 슬루스와 상관관계 ID 상관관계ID는 임의로 생성되는 고유한 숫자 또는 문자열로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주입됨. 6장에서 주울 필터를 사용해 유입되는 HTTP 요청을 검.. 파일시스템 관리 파일 및 디렉터리 관리 1) 소유권 ownership 과 허가권 permission 1. 소유권과 허가권 확인 ls -l 옵션이나 ls -n 옵션을 사용 $ls -l loop.sh 2. 파일 유형 - 일반파일 d 디렉터리 l 심볼릭 링크 b 블록 디바이스 c 캐릭터 디바이스 p FIFO s 소켓 3. 허가권 permission 읽기 권한 r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복사 파일과 디렉터리 확인 쓰기 권한 w 파일의 내용을 수정 디렉터리가 포함하고있는 파일 수정. 파일 생성,삭제 실행 권한 x 실행가능한 파일이라면 파일을 실행 디렉터리 안으로 접근. 4. 소유권 ownership 각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소유할 사용자나 그룹을 지정. 사용자 소유권, 그룹 소유권 5. 허가권 변경하기 chmod 명령어와 기호와..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